본 시리즈는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책을 참고하여 작성하고 있습니다.
에러 처리
에러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코드를 작성할 수는 없다. 에러를 적절히 처리해 주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종료될 수 있다.
1x() // Uncaught ReferenceError: x is not defined2null.toString() // 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toString' of null33 @ 1 // Uncaught SyntaxError: Invalid or unexpected token
예외
직접적으로 에러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예외(Exception)적인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아래 예시처럼 DOM에서 button 요소를 찾을 수 없다면 querySelector
는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고 null을 반환한다. 그런데 항상 요소를 찾을 수 있을 것을 가정하고 코드를 작성하면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예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서 null이 될 수도 있는 값은 if문, 단축 평가(||
), 옵셔널 체이닝(.?
) 등의 처리를 해줄 수 있다.
try ... catch ... finally
에러를 처리하는 코드를 미리 작성해서,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 처리 코드를 실행하도록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1try {2 ...3} catch (err) {4 ...5} finally {6 ...7}
try
:try - catch
문을 만나면 우선try
문 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한다.catch
:try
문을 실행하다가 에러가 발생하면catch
문으로 이동하게 되고,err
변수에 발생한 에러 객체가 전달된다.finally
: 에러 발생 여부와 관계 없이 무조건 실행된다.
catch
, finally
문은 생략 가능하지만 catch
문이 없으면 의미가 없으므로 생략하지 않는다. try .. catch .. finally
문 안에서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프로그램은 종료되지 않는다.
Error 객체
Error 빌트인 생성자 함수로 에러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자 함수의 인수로 에러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1const error = new Error('에러 발생 !!');2console.dir(error)34// error 객체5{ message: "에러 발생 !!", stack: "Error: 에러 발생 !! at <anonymous>:1:15" }
Error
객체의 프로퍼티
message
: Error 생성자 함수에 인수로 전달한 에러 메시지, 에러를 설명함stack
: 에러를 발생시킨 콜 스택 호출 정보를 나타냄, 디버깅 목적
throw
문
Error 객체를 생성하는 것만으로 에러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생성된 Error 객체를 throw 문과 함께 사용해서 에러 객체를 던져야 에러가 발생한다.
1throw error; // 에러 발생
throw 문의 표현식에는 어떤 값이든 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에러 객체를 지정한다.
에러의 전파
에러는 호출자(caller) 방향으로 전파된다. 즉, 콜 스택(실행 컨텍스트 스택)의 아래 방향으로 전파된다.
1function foo() {2 throw Error('foo에서 에러 발생')3}4function bar() {5 foo();6}7function x() {8 bar();9}10try {11 x();12} catch (e) {13 console.error(e);14}
foo
에서 throw
된 에러는 bar → x → 전역
으로 전파되다가 전역의 try
문에서 catch
된다. throw
된 에러는 캐치하지 않으면 호출자 방향으로 전파되고, 어디서도 이 에러를 캐치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강제 종료된다.
비동기 함수인 setTimeout이나 프로미스 후속 처리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콜백 함수는 호출자가 없다. 콜백 함수는 콜 스택이 비어 있을 때 이벤트 루프에 의해서 콜 스택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어 호출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러가 전파되지 않아 try ... catch
문으로 콜백 함수의 에러를 캐치할 수 없다.
모듈
모듈은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개별 요소로서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을 말한다. 보통 기능을 기준으로 파일 단위로 분리되며, 모듈은 자신만의 모듈 스코프(파일 스코프)를 가진다
모듈 스코프 안에 있는 모듈의 자산(변수, 함수, 객체 등)은 기본적으로 비공개되어 있다. 즉, 캡슐화되어 다른 모듈에서 접근 불가능하다.
그러나 모듈은 어플리케이션이나 다른 모듈에 의해 재사용되어야 의미가 있다. 그래서 공개가 필요한 자산은 명시적으로 선택적 공개가 가능하다. 이를 export
라 한다.
공개된 자산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다른 모듈의 스코프 내로 import
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공개된 모듈의 자산을 사용하는 모듈 사용자(module consumer)라고 한다.
모듈의 장점
- 코드의 단위를 명확히 분리할 수 있다
- 재사용성이 좋아 개발 효율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듈
기존의 자바스크립트는 파일 스코프, import, export를 지원하지 않아 모듈이 성립하지 않았다. 파일을 분리하여 로드할 수는 있었지만 파일마다 독립적인 파일 스코프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분리하여 로드했더라도 결국 하나의 자바스크립트 파일 안에 있는 것처럼 동작하며, 하나의 전역을 공유한다. 그래서 전역 변수가 중복되는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모듈 로더 라이브러리로 CommonJS와 AMD(Asynchronous Module Definition)이 제안되었고, Node.js에서는 사실상 표준인 CommonJS를 채택하여 기본적으로 CommonJS 사양을 따르고 있다.
ESM(ES6 모듈)
ES6에서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자바스크립트에서도 모듈 기능이 동작할 수 있도록 ESM을 도입했다. IE를 제외한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다.
1<script src="app.mjs"></script>2<script **type="module"** src="lib.mjs"></script>
이처럼 script 태그에 type=”module”
어트리뷰트를 추가하면 그렇게 로드된 자바스크립트 파일은 모듈로 동작한다. ESM의 파일 확장자는 구분을 위해 .mjs
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ESM은 기본적으로 strict mode
가 적용된다.
ESM의 특징
- 기본적으로 strict mode가 적용된다
- 독자적인 모듈 스코프를 갖는다 (다른 파일과 전역을 공유하지 않는다)
- 모듈 내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전역 변수가 아니고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도 아니다
- 모듈 내에서 선언한 식별자는 모듈 외부에서 참조할 수 없다
export
1// circle.mjs2export const pi = Math.PI;3function square(n) {4 return n * n;5}6export function getCircleArea(radius) {7 return square(radius) * pi;8}
export
키워드로 모듈 내부에서 선언한 식별자를 외부에 공개할 수 있다. 변수, 함수, 클래스 등 모든 식별자를 export 할 수 있다.
모듈에서 하나의 값만 export 한다면 default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름 없이 하나의 값을 export 하며, var,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다.
1export default 3;
import
- 모듈이 export한 식별자들을 하나의 이름으로 한 번에 import 할 수 있다.
1// app.mjs2import * as circle from 'circle.mjs'34const radius = 5;5console.log(circle.getCircleArea(5));
- 모듈이 export한 식별자 이름으로 import 할 수 있다.
- 모듈이 export한 식별자 이름을 변경해서 Import 할 수도 있다. (
as
사용)
1// app.mjs2import {pi as PI_VALUE, getCircleArea} from 'circle.mjs'34console.log(pi) // X5console.log(PI_VALUE) // O67const radius = 5;8console.log(getCircleArea(5));
- default 키워드로 export한 모듈은 없이 임의의 이름으로 import 한다.
1import value from 'defaultExport.mjs';
바벨 & 웹팩 & 폴리필
ES6이나 그 이상의 버전(ES6+), 그리고 제안 단계에 있는 사양(ES.NEXT)을 사용하려면 우선 브라우저가 해당 사양을 지원해야 한다.
ES6의 경우 크롬, 사파리, 파이어폭스, 엣지 등의 에버그린 브라우저(웹 표준 준수를 위해 자동 업데이트 지원)에서는 98%의 지원율을 보이고 있지만, IE11의 경우 ES6 지원율이 11%이며, 매년 도입되는 ES6+ 버전이나 ES.NEXT는 지원율이 모두 다르다.
ES6 모듈(ESM)이 지원되고 있지만, 별도의 모듈 로더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구형 브라우저는 ESM을 지원하지 않는다.
- ESM을 사용해도 트랜스파일링이나 번들링이 필요하다
- ESM이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 있다 (Bare Import 등)
1// 일반적인 import 방식2import React from 'react';34// bare import - 로드만 하고 변수에 할당하지 않음5import 'react';
따라서 개발 환경 구축 시에 바벨, 웹팩과 같은 트랜스파일러, 모듈 번들러를 사용한다.
- Babel: 트랜스파일러(transpiler), 최신 사양의 소스코드를 구형 브라우저에서도 동작하는 ES5 사양 소스코드로 변환(트랜스파일링)
- Webpack: 모듈 번들러(module bundler), 의존성이 있는 자바스크립트, CSS, 이미지 등의 리소스를 하나(또는 여러 개) 파일로 번들링
- 의존성이 있는 모듈이 번들링되므로 별도의 모듈 로더가 필요하지 않다
그런데 바벨을 사용해서 ES5 사양의 코드로 트랜스파일링해도 브라우저가 지원하지 않는 코드가 있을 수 있다. Promise, Object.assign, Array.from
등의 코드는 ES5 사양에 대체할 기능이 없어 트랜스파일링되지 못한다.
1// 트랜스파일링 전2console.log(Object.assign({}, {x: 1}, {y: 2}))
1// 트랜스파일링 후2console.log(Object.assign({}, {3 x: 14}, {5 y: 26}));
이를 보충하기 위해 @babel/polyfill
을 사용한다. 폴리필은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구현하는 코드이다.